🍎
청약실전
청약가이드 A-Z
Contents.
—
맞춤분양으로 시작하고 끝내는 [청약가이드 A-Z]
1단계) 청약저축 가입
2단계) 원하는 아파트 고르기
3단계) 신청자격 확인 - 가점계산
4단계) 청약 신청하기
안녕하세요 맞춤분양입니다 :) 오늘은 맞춤분양 어플을 이용해서 한방에 주택청약을 해결할 수 있는 [청약가이드 A-Z]를 준비했어요!
아래 4단계를 통해 청약 시작부터 신청까지의 여정을 한번 떠나볼까요?
🍀
1단계 청약저축 가입
청약을 시작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요? 바로 주택청약종합저축, 일명 청약통장에 가입해야 합니다.
주택청약종합저축이란? 주택청약을 위해선 반드시 개설해야 하는 통장으로, 저축통장입니다.
과거엔 국민주택을 지원할 땐 청약저축을, 민영주택을 지원할 땐 청약예금으로 구분해서 가입을 받았지만, 현재는 둘 다 신규 가입이 중단되고 주택청약종합저축으로 통합되었습니다.
<청약통장 종류>

주택청약종합저축은 농협, 신한, 우리, 하나, 기업, 국민, 대구, 부산, 경남 은행에서 전국적으로 가입이 가능하고, 매월 최소 2만 원에서 최대 50만 원 사이에 자유롭게 금액을 선택하여 자동납부하실 수 있습니다.
규제지역의 민영주택과 국민주택 청약 시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 기간이 적어도 2년 이상이어야 1순위로 청약이 가능하기 때문에 청약통장은 무조건 빨리 만드는 게 유리합니다.
통장에 얼마의 돈을 넣는 것이 가장 좋을지 고민이 되신다면 "청약통장에 매달 얼마씩 넣는 게 좋을까" 포스팅을 참고 바랍니다 :)
🍀
2단계 : 원하는 조건의 매물 고르기
청약통장이 준비되었다면 이제 내가어떤 조건의 집에 살고 싶은지, 그런 조건의 집은 어디일지 고민해봐야 합니다. 크게는 지역, 분양가부터 자세하게는 평형, 교통, 학군까지 원하는 조건을 고려해 봅시다.
👍 원하는 매물 쉽게 찾는 TIP!
1. 어떤 집을 원하는지 조건을 세분화해 보세요
ㄴ 분양가, 평형, 총 세대수, 전매 제한, 입주일, 공급유형 등등 조건을 세분화할수록 더 맘에 쏙 드는 집을 금방 찾으실 수 있습니다!
ㄴ 서울 5억 이하 집 (x)
ㄴ 서울 마포구 5억 이하 1년 이내 입주가능한 아파트 (ㅇ)
2. 맞춤분양의 분양 필터를 활용해 보세요
ㄴ 원하는 집의 조건 대로 맞춤분양에서 필터를 설정하면 더 금방 찾을 수 있어요
3. 맞춤분양에서 맞춤 알림을 설정해 보세요
ㄴ 원하는 집의 조건 대로 맞춤 알림을 설정하면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 신규공고가 등록되는 즉시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어요. 참 편리하죠?^^
🍀
3단계 : 신청자격(가점제) 확인
청약하고 싶은 매물을 고르셨다면, 이제 그 매물의 입주자모집공고문을 보면서 나의 현재 상황과 부합한 지 확인이 필요합니다. 거주지 제한지역과 기간은 어딘지 얼마나 긴지, 세대원도 청약이 가능한지, 전매제한은 몇 년인지 등등을 꼼꼼히 살펴봐야 합니다.
민영주택에 가점제로 청약을 넣을 경우, 본인의 청약가점을 계산해서 제출해야 합니다. 이때, 가점을 잘못 계산하면 당첨이 되더라도 부적격으로 취소가 될 수 있으며, 청약통장 초기화는 물론 재당첨제한도 생기니 절대 조심하셔야 합니다!!
👍 신청자격 확인하는 TIP!
1. 청약홈에서 청약제한사항을 확인해 보세요
ㄴ 청약홈 > 청약자격확인 > 청약제한사항확인
2. 입주자 모집공고문에서 [ctrl+F]를 눌러 검색을 해보세요
ㄴ 궁금한 공급유형의 신청자격만 검색해서 확인할 수 있어요!
3. 맞춤분양의 무료가점계산기를 이용해 보세요
ㄴ1분 만에 손쉽게 청약가점을 계산할 수 있답니다 :)
🍀
4단계 : 청약 신청하기
마지막으로 청약신청만 남았군요! 청약신청은 한국부동산원 청약 home 홈페이지에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.
정보취약계층에 한하여 은행지점에서도 청약이 가능하나 일반공급 1,2순위 청약만 가능하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.
👍 부적격을 피할 수 있는 TIP!
1. 부동산 커뮤니티를 활용해 보세요
ㄴ 맞춤분양 커뮤니티에 질문해 보세요
2. 청약홈 고객센터를 이용해 보세요
ㄴ 청약홈 고객센터 : 1644-7445
3. 청약 연습하기와 가상 체험하기를 이용해 보세요
ㄴ 청약홈 > 공고단지 청약연습
✔ 가점 계산기를 이용해 보세요
ㄴ 맞춤분양 무료 가점 계산기 이용해 보기
이상 맞춤분양이었습니다 :)

댓글 0개
·
·
·
이런 글은 어때요?
|
|
|
|